생활속 습기

생활속 습기

습도와 곰팡이
습도와 체감온도
우리나라 여름이 지중해성 기후?
열대야 기준이 25도?
제로에너지 건물은 습해
여름에 영화관이 왜 추울까 ?
동남아시아가 추워?
곰팡이엔 환기가 답 ? – 여름에는 No
습기 민감 장비
습도와 공기감염
습도와 곰팡이

곰팡이는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발생합니다. 

상온에서 습도가 70% 이상이면 곰팡이가 발생하며, 5도 이하에서도 습도가 80% 이상이면 발생합니다. 냉장고 안에서도 곰팡이가 발생하는 이유입니다.

dailylife_content1
습도와 체감온도

인체가 느끼는 쾌적함, 즉 체감온도는 단순히 온도뿐만 아니라 습도에도 큰 영향을 받습니다. 우리 몸은 피부와 주위의 온도차뿐만 아니라 땀이 증발하면서 열을 발산하며 시원함을 느끼는데, 습도가 높아지면 땀 증발로 인한 냉각 효과가 감소하여 실제 온도보다 더 덥게 느껴지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수치화한 것이 바로 체감온도입니다. 예를 들어, 30°C에서 습도 20%일 때의 체감온도와 24°C에서 습도 80%일 때의 체감온도가 26°C로 동일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는 온도를 낮추는 대신 습도를 효과적으로 낮춤으로써 동일한 냉방 효과와 쾌적함을 얻을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dailylife_content2-1_all
dailylife_content2-2_ko
우리나라 여름이 지중해성 기후 ?

우리나라 여름철 평균 온도는 지중해 지역과 유사합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여름 기후가 지중해성 기후일까요? 아닙니다. 그 이유는 바로 '습도 차이'에 있습니다. 지중해 지역은 습도가 낮아 그늘에서는 선선하게 느껴지는 반면, 우리나라는 같은 온도라도 높은 습도 때문에 훨씬 덥고 불쾌하게 느껴지는 것입니다.

dailylife_content3-1_ko
dailylife_content3-2_ko
열대야 기준이 25도 ?
dailylife_content4

우리나라의 여름밤을 괴롭게 하는 '열대야' 는 하루 중 최저 기온이 25°C 이상인 날을 말합니다. 열대야가 찾아오면 잠을 이루기 어려울 정도로 덥고 불쾌한 밤이 이어집니다.

여름철 권장 냉방 온도가 26~28°C임에도 불구하고, 밤 최저 기온이 25°C로 이보다 낮은데도 열대야가 덥고 불쾌하게 느껴지는 이유는 바로 습도에 있습니다. 열대야가 나타나는 밤에는 습도가 70~80% 이상으로 매우 높기 때문입니다. 습도가 매우 높은 날은 밤에도 온도가 잘 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대 습도는 오히려 증가하여 체감 온도를 더욱 높여 깊은 잠을 방해하게 됩니다.

제로에너지 건물은 습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패시브하우스 중 하나인 람다하우스의 경우, 여름철 실내 습도가 70% 이상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고단열 시공으로 실내 온도는 27°C 이하로 적절하게 유지되지만, 습도가 높은 상황이 계속되어 마치 항상 장마철과 유사한 환경이 조성되는 것입니다.

제로에너지 건물에서 에너지사용을 최소화하면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환기 시 외부 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것이 중요합니다. 환기장치가 습기를 걸러내어 습기 유입을 최소화해야만 진정한 의미의 제로에너지 건물을 완성할 수 있습니다.

**람다하우스: 우리나라 대표적인 패시브하우스, 2014년 10월 완공, 세종시 위치, 건축연면적 245m2, 1.5리터(l/m2year) 하우스

dailylife_content5-1-all
dailylife_content5-2_ko
여름에 영화관이 왜 추울까 ?

고단열 건물이나 재실 밀도가 높은 공간에서는 냉방 부하 중에서 인체 부하와 환기 부하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아집니다. 특히 인체에서 발생하는 열의 40%는 땀 증발로 인한 잠열이며, 여름철 환기 부하의 80% 또한 잠열입니다.

이로 인해 총 냉방 부하 중 잠열이 차지하는 비중이 60% 이상에 달하게 됩니다. 이는 온도는 높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습도가 높아 항상 장마철과 유사한 끈적이고 불쾌한 상황을 유발합니다.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에어컨 온도를 낮추면 지나치게 추워지고, 반대로 온도를 높이면 제습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꿉꿉하고 덥게 느껴지는 딜레마에 빠지게 됩니다.

dailylife_content6
동남아시아가 추워 ?

동남아시아와 같이 연중 더운 지역을 여행할 때, 실내에서 입을 긴팔 옷을 꼭 챙겨야 한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이는 호텔이나 쇼핑몰 등 실내 온도가 20°C 정도로 너무 낮고, 동시에 높은 습도 때문에 더욱 서늘하게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흥미롭게도 현지인들이 낮은 온도를 선호해서 실내를 시원하게 유지하는 것은 아닙니다. 에어컨 온도를 25°C 정도의 적정온도로 설정하면 제습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곳곳에 곰팡이가 생기기 때문에, 습기 제거를 위해서 에어컨 설정 온도를 과하게 낮추는 것입니다.

dailylife_content7-1_ko
dailylife_content7-2_ko
곰팡이엔 환기가 답 ? – 여름에는 No

여름철에는 습한 외부 공기가 실내로 유입된 후 온도가 낮아지면 오히려 상대 습도가 증가하여 곰팡이 발생에 더욱 취약해집니다.

지하 공간의 경우에는, 습한 외부공기가 유입되면 차가운 벽면에 결로가 생기면서 곰팡이가 더욱 심각하게 발생하게 됩니다.

dailylife_content8
습기 민감 장비

정밀 분석 장비들은 정밀 광학, 전기, 센서 기술을 기반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습도 조건에 따라 성능에 큰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각 장비별 영향:

질량분석기
(Mass Spectrometer, MS)
공기 중 습기가 진공 시스템으로 유입되면 오염을 일으키고 신호에 왜곡을 발생시킵니다.
01
FT-IR 분광기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meter)
IR 영역에서 수분은 강한 흡수를 보이기 때문에, 공기 중 습도는 배경 노이즈 증가 및 오류의 주요 원인이 됩니다.
02
전자현미경 (SEM, TEM)
공기 중 습기가 진공 시스템의 이온 펌프나 터보 펌프에 손상을 주어, 최종적으로는 이미징 품질 저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03
의료용 장비
의료용 레이저 장비의 경우,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레이저 빔이 통과하는 구간에 습기가 존재하면 내부 굴절률에 영향을 주어 불안정한 출력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04

따라서 이러한 정밀 장비의 최적의 성능 유지와 수명 연장을 위해서는 습도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특히, **안과용 레이저(excimer, YAG)**는 각막 절삭 정밀도가 마이크론 단위로 매우 민감하며, 레이저 광선 안정성 및 굴절 현상에 영향을 주는 습도 변화에 매우 취약합니다.

또한, 수술 중 정밀 절개 및 출혈 최소화에 사용되는 외과용 레이저(CO2, Nd:YAG) 역시 레이저 출력이 안정적이어야 합니다.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는 저온 영역에 결로가 발생하여 출력 변동을 일으키고 기기 오작동 가능성을 높일 수 있어, 정확하고 안전한 시술을 위해 철저한 습도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습도와 공기감염

감염자의 비말(침방울)이 호흡을 통해 흡입되면 감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공기 감염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실내 습도를 50% 내외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dailylife_content9

습도가 50% 정도가 되면 비말 내 수분이 증발하여 염분 농도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바이러스가 사멸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습도가 너무 낮아지면 비말 내 수분이 완전히 증발하고 염분이 석출되어 바이러스와 분리되면서 바이러스가 생존하게 됩니다.

dailylife_content10
고습도(80%이상)
dailylife_content10

- 체내에 있을 때와 유사
- 바이러스 생존

적정습도(50±10%)
dailylife_content11

- 비말내 수분증발
- 비말직경 ½ 이하로 감소
- 비말내 염도증가
- 염도 10~20% (염장음식의 염도)
- 바이러스 사멸

저습도(30% 이하)

- 비말내 수분 완전증발
- 비말내 염분 석출
- 바이러스와 염분 분리
- 바이러스 생존